칠가이: 두 판 사이의 차이
Memekipedia (토론 | 기여) 새로 추가 |
Memekipedia (토론 | 기여) 편집 요약 없음 |
||
1번째 줄: | 1번째 줄: | ||
=== 1️⃣ 밈 개요 === | === 1️⃣ 밈 개요 === | ||
* '''밈 이름''': 칠 가이 (Chill Guy) | * '''밈 이름''': 칠 가이 (Chill Guy)[[파일:칠가이-누끼.png|없음|섬네일|“칠가이 누끼 필요해서 이래저래 고생하지마. ]] | ||
* '''발생 시기''': 2023년 10월 | * '''발생 시기''': 2023년 10월 | ||
* '''유래 플랫폼''': X(구 트위터), TikTok | * '''유래 플랫폼''': X(구 트위터), TikTok | ||
13번째 줄: | 13번째 줄: | ||
처음에는 단순한 "힐링 밈"으로 사용되었지만, 이후 다양한 상황에서 패러디되며 인기를 끌었다. | 처음에는 단순한 "힐링 밈"으로 사용되었지만, 이후 다양한 상황에서 패러디되며 인기를 끌었다. | ||
[[파일:Image-4.png|섬네일|https://x.com/chillguy__]] | |||
'''주요 활용 방식''' | '''주요 활용 방식''' | ||
25번째 줄: | 25번째 줄: | ||
=== 3️⃣ 밈의 기원 === | === 3️⃣ 밈의 기원 === | ||
* 2023년 10월, | * 2023년 10월, 필립 뱅크스(Philip Banks)가 SNS에 처음 업로드 | ||
* 틱톡과 X에서 점점 확산되며 "힘든 순간에도 평온함을 유지하는 캐릭터"로 자리 잡음 | * 틱톡과 X에서 점점 확산되며 "힘든 순간에도 평온함을 유지하는 캐릭터"로 자리 잡음 | ||
* 이후 다양한 짤과 변형 밈이 생성됨 | * 이후 다양한 짤과 변형 밈이 생성됨 | ||
32번째 줄: | 32번째 줄: | ||
=== 4️⃣ 밈의 변천사 및 확산 과정 === | === 4️⃣ 밈의 변천사 및 확산 과정 === | ||
[[파일:Image-8.png|섬네일]] | |||
📌 '''2023년 10월~12월''': SNS에서 "힐링 밈"으로 확산 | 📌 '''2023년 10월~12월''': SNS에서 "힐링 밈"으로 확산 | ||
42번째 줄: | 43번째 줄: | ||
=== 5️⃣ 마케팅 및 브랜드 활용 사례 === | === 5️⃣ 마케팅 및 브랜드 활용 사례 === | ||
[[파일:Image-7.png|섬네일|출처 : azcardinals]] | |||
* '''NFL 구단, 스프라이트 유럽, 엑스박스''' 등 글로벌 브랜드들이 SNS 마케팅에 활용 | * '''NFL 구단, 스프라이트 유럽, 엑스박스''' 등 글로벌 브랜드들이 SNS 마케팅에 활용 | ||
* 칠 가이의 "힐링" 콘셉트를 살려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전달 | * 칠 가이의 "힐링" 콘셉트를 살려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전달 |